Yeom's
Yeom's Coding Note
Yeom's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62)
    • 백준온라인 (94)
    • 운영체제 (14)
    • 프로그래머스 (0)
    • Go Language (40)
    • AWS (1)
    • 자료구조 (21)
    • Effective Java 3E (41)
    • JPA (1)
    • Tech Interview (33)
    • MySQL 8.0 (7)
    • CS 기술면접 (7)
    • Linux (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boj 2839
  • 출처 : 망나니 개발자
  • UTM
  • https://mangkyu.tistory.com/93
  • 백준 설탕 배달
  • https://mangkyu.tistory.com/94
  • https://mangkyu.tistory.com/92
  • Real MySQL 8.0
  • https://mangkyu.tistory.com/91
  • https://mangkyu.tistory.com/88
  • 망나니개발자
  • m1 linux
  • java
  • RealMySQL 8.0
  • https://mangkyu.tistory.com/90
  • maeil-mail
  • 교보dts
  • 망나니 개발자
  • https://mangkyu.tistory.com/89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Yeom's

Yeom's Coding Note

Effective Java 3E

학습기록 - 자원을 직접 명시하지 말고 의존 객체 주입을 사용하라

2023. 7. 31. 17:40
728x90
반응형

많은 클래스가 하나 이상의 자원에 의존한다. 

 

사용하는 자원에 따라 동작이 달라지는 클래스에는 정적 유틸리티 클래스나 싱글턴 방식이 적합하지 않다.

대신 클래스가 여러 자원 인스턴스를 지원해야 하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자원을 사용해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간단한 패턴으로는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생성자에 필요한 자원을 넘겨주는 방식이다. 

 

아래의 코드가 그 예시이다.

 

public class SpellChecker{
    private final Lexicon dictionary;

    public SpellChecker(Lexicon dictionary){
        this.dictionary = Objects.requireNonNull(dictionary);
    }
    public boolean isValid(String word){...}
    public List<String> suggestions(String typo){...}
}​

이는 의존 객체 주입의 한 형태로, 맞춤법 검사기를 생성할 때 의존 객체인 사전을 주입해주면 된다.

 

의존 객체 주입이란?

의존 객체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은 객체 간의 의존 관계를 어플리케이션 코드에서 정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외부에서 주입하여 런타임 시점에 동적으로 결정하는 디자인패턴. 

 

의존 객체 주입은 주로 세 가지 방식으로 구현된다.

1. 생성자 주입(Contructor Injection)

의존하는 객체들을 클래스의 생성자를 통해 주입하는 방식. 클래스를 인스턴스화할 때 필요한 의존 객체들을 외부에서 전달하여 결합도를 낮춘다.

public class ServiceA {
    private ServiceB serviceB;

    public ServiceA(ServiceB serviceB) {
        this.serviceB = serviceB;
    }
}

2. 세터 주입(Setter Injection)

의존하는 객체들을 세터 메서드를 통해 주입하는 방식. 객체를 생성한 후에 외부에서 필요한 의존 객체들을 주입할 수 있다.

public class ServiceA {
    private ServiceB serviceB;

    public void setServiceB(ServiceB serviceB) {
        this.serviceB = serviceB;
    }
}

 

3. 인터페이스 주입(Interface Injection)

의존 객체를 주입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서 의존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 주로 프레임워크나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됨.

 

의존 객체 주입이 클래스들 간의 결합도를 낮출 수 있어 유연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개선해주기는 하지만, 의존성이 수 천 개나 되는 큰 프로젝트에서는 코드를 어지럽게 만들기도 한다. 해결책으로는 대거(Dagger), 주스(Guice), 스프링(Spring)과 같은 의존 객체 주입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해소될 수 있다.

 

핵심 정리

"클래스가 내부적으로 하나 이상의 자원에 의존하고, 그 자원이 클래스 동작에 영향을 준다면 싱글턴과 정적 유틸리티 클래스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자원들을 클래스가 직접 만들게 해서도 안 된다. 대신 필요한 자원을(혹은 그 자원을 만들어주는 팩토리를) 생성자에 (혹은 정적 팩토리나 빌더에) 넘겨주자. 의존 객체 주입이라 하는 이 기법은 클래스의 유연성, 재사용성, 테스트 용이성을 기막히게 개선해준다."

728x90
반응형

'Effective Java 3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기록 - 다 쓴 객체 참조를 해제하라  (0) 2023.11.26
학습기록 -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하라  (1) 2023.11.26
학습기록 - 인스턴스화를 막으려거든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하라  (0) 2023.07.31
학습기록 - private 생성자나 열거 타입으로 싱글턴임을 보증하라  (0) 2023.07.31
학습기록 - 생성자에 매개변수가 많다면 빌더를 고려하라  (0) 2023.07.30
    'Effective Java 3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학습기록 - 다 쓴 객체 참조를 해제하라
    • 학습기록 -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하라
    • 학습기록 - 인스턴스화를 막으려거든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하라
    • 학습기록 - private 생성자나 열거 타입으로 싱글턴임을 보증하라
    Yeom's
    Yeom's

    티스토리툴바